20204_11_21 목요일
오늘은 5주차 강의 완강과 5주차 과제까지 제출했다
드디어 UX수업 완강---!
그리고 어제 튜터님이 UI개인과제 피드백 주신부분들을 반영하는중이다!
✅ 배운점
먼저 5주차 강의는 사용성 테스트에 관한 내용이였다.
사용성 테스트란
Usability Test로 줄여서 UT라도고 한다.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할때 의도한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크를 수행하는지,
문제점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해 진행하고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떤 혼란을 겪는지 파악할 수 있다.
제품 개선 전에 진행하게되면 유저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파악할수있고
개선 후에 진행하면 유저가 실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우리는 사용자가 아니며, 오히려 프로젝트에 대해
너무 많이 알고 있기 때문에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성 테스트의 구성요소와 각각의 관계 그리고 참가자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봤다😎
사용성 테스트는 관찰자, 진행자가 실시간을 참가자의 얼굴과 참가자가 조작하는 화면을 관찰하면서 진행되며
상황에따라 원격이나, 사용가능한 공간 에서 진행한다.
사용성 테스트는 심층인터뷰와 마찬가지로 5명 정도면 충분하다.
5명 테스트 후 사후 인터뷰까지 하면 85%의 사용성 문제 발굴이 가능하다!
아래에는 사용성 테스트 준비단계와 단꼐별 설명을 넣어봤다!
그리고 사용성 테스트 시나리오에는 아래의 순서대로 작성 된다.
1. 사용성 안내 : 진행자 및 테스트 목적 소개, 진행방법안내, 영상 촬영 동의 (필요에 따라 비밀유지 서약서)
2. 테스크 진행 : 수행할 테스크들
3. 후속질문 리스트 : 예시)이 버튼을 누른이유는 무엇인가요?/ 누르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4.마무리 : 인사, 보상증정
위의 순서중 테스크 진행 순서는 효율적으로 잘 짜야한다.
사용자가 수행하면서 순서에 따라 매끄럽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을 확인해보세요 ➡️ 2번.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아주세요
이런식이 되면 소요시간도 늘어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순서로 작성해야한다!
강의과제는 사용성 테스트시에 참여자가 수행할 테스크 선정하기 작성하기 였다!
사용성 테스트 실행 과정을 만들어 봤다~~~~
이중 Think Aloud 는 아주 중요하다
Think Aloud를 통해 유저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행동했는지,
어떤 과정에 의해서 인지하게 되는지 이런부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인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참가자가 말을 많이 하도록 유도해야한다.
Think Aloud를 통해
유저가 메뉴나 버튼, 아이콘을 클릭한 의도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기대하는 결과값
테스크 수행 중 유저가 겪는 어려움
테스크 수행중 유저가 실수를 한 이유
를 알수 있고
Think Aloud는 유저의 실제 의도와 인지과정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용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결과 정리는 내일 다시 써보도록 하겠다...
🤔 느낀점
앞서 이틀만에 너무 많은 강의를 보고 과부화가 왔기때문에
오늘은 하나를 듣고 기억할 수 있도록 복기하는 과정을 가졌다.
강의를 빨리 듣는 것보다 이 방법이 배움에는 더 효과적인것 같다...!(나한테만 일수도..?)
확실히 오늘 배운내용도 더 많이 기억나고 복기해보면서 이해도 훨씬 잘되는 느낌이다.
이로써 모든 강의를 완강했기때문에 내일은 다시 1주차부터 살펴볼 예정이다.
너무 무지막지하게 들어버려서 아직까지 내용이 머릿속에 뒤죽박죽...
그럼 내일도 화이팅이다!!!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트랙 > [내배캠] TIL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 26일차 / 2024_11_26 (0) | 2024.11.26 |
---|---|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 25일차 / 2024_11_25 (0) | 2024.11.25 |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 22일차 / 2024_11_20 (0) | 2024.11.20 |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 21일차 / 2024_11_19 (0) | 2024.11.19 |
[내배캠] 프로덕트 디자인 / 20일차 / 2024_11_18 (2) | 2024.11.18 |